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결혼성비 불균형: 미혼 남성 과잉 문제와 그 원인

by 핀포프 2024. 6. 17.

한국의 결혼성비 불균형: 미혼 남성 과잉 문제와 그 원인
한국의 결혼성비 불균형: 미혼 남성 과잉 문제와 그 원인

 

한국의 결혼성비 불균형: 미혼 남성 과잉 문제와 그 원인

최근 발표된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미혼 남성 수가 미혼 여성보다 20%가량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미혼 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결혼을 원하는 많은 남성들이 상대적으로 결혼 상대를 찾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결혼성비 불균형의 현황과 그 원인, 그리고 지역별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혼 남성 과잉: 전국적 현황과 지역별 차이

2021년 기준으로 미혼 남성은 미혼 여성보다 19.6% 더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가능한 많은 미혼 남녀가 매칭이 되더라도 여전히 많은 미혼 남성들이 남게 되는 구조적 문제를 나타냅니다.

특히,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이러한 불균형이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 미혼 남성의 과잉 비율이 2.5% 수준으로 비교적 낮았지만, 경북(34.9%), 경남(33.2%), 충북(31.7%) 등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30%를 넘는 높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미혼율 차이: 남녀 간 결혼 성비 불균형의 원인

결혼성비의 불균형은 남녀 간 미혼율의 차이에서도 나타납니다.

2020년 시점에서 1985년생(당시 35세)의 미혼율을 보면 남성은 46.5%로, 여성의 29.1%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미혼 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큰 이유는 과거 남아 출생이 여아 출생보다 많았기 때문입니다.

출생성비 불균형의 역사적 배경

출생성비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하기 시작했습니다.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는 특히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2007년부터는 자연성비 범위 내로 돌아왔습니다.

남아 출생이 많았던 이유로는 남아선호사상,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자녀 성 선택 욕구 증가, 그리고 초음파 검사 등 성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발전 등이 있습니다.

보고서는 "1970년부터 30년 이상 출생성비가 자연성비를 넘어서는 수준이 지속됐다"고 설명하며, "이들이 재생산 연령대에 접어들었을 때 결혼성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습니다.

결혼성비 불균형의 지역적 특성

특히 결혼성비의 불균형이 심각한 지역은 1980~1990년대 출생성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한 특징을 보입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남아 출생이 특히 많았으며, 그 결과 현재 결혼을 원하는 남성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결혼성비 불균형의 사회적 영향

결혼성비 불균형은 단순히 결혼 상대를 찾기 어려운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혼 남성들이 증가함에 따라 결혼과 출산율 저하, 고령화 등의 문제가 심화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국가의 경제 및 사회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결론: 성비 불균형 해소를 위한 노력

한국의 결혼성비 불균형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될 수 있는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출생성비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된 결과이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성평등 인식 개선, 출산 장려 정책, 지역 간 균형 발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노력이 요구됩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